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사회분야 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현물급여 및 간접세 포함 cover image

사회분야 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현물급여 및 간접세 포함

Keyword
직접세, 직접세, 공공부문, 지니계수, 복지지출, 공공부문, 지니계수, 복지지출
Title
사회분야 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현물급여 및 간접세 포함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Including Indirect Taxes and In-kind Benefits
Authors
Ki-baeg Park; Myung Jae Sung; John M. Kim; 박기백; and Jin Kim; 성명재; 김종면; Ki-baeg Park; John M. Kim; and Jin Kim; Myung Jae Sung; 김진
Issue Date
2006-12-01
2006-12-01
Publisher
KIPF
KIPF
Page
pp. 175
pp. 175
Abstract
We examine the redistributive effects of government taxes and expenditures on the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which has shown a deteriorating trend since the mid-1990s, notably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Focusing on expenditures for social programs, we measure their effects on household income and also discuss policy suggestions based on policy simulation analyses. Specifically, we use survey data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cash benefits and the tax burden of direct and indirect taxes. We also attempt a simulated reconstruction of in-kind benefits for health-care and education, etc., using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and number of children in households.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direct taxes such as income tax and of income transfers, as measured by their impact on the Gini coefficient, is estimated to be 10.5 percent as of 2005. Excluding private transfers, public-sector redistribution came to about 6.6 percent. If we include indirect taxes, which are somewhat regressive, public-sector redistribution was 6.1 percent. The redistributive effects of in-kind benefits (as of 2005) were estimated to be 2.75, 2.6, and 0.17 percent for health insurance, education, and child-care, respectively. Housing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for redistribution, as subsidies were mainly small-scale and skewed toward high-income households.



Looking at private income (defined as market income plus private transfers), when we excluded taxes and social contributions and added cash and in-kind benefits, final income was higher than private income for the first to fifth deciles, and vice versa for the higher deciles. From this result, we conclude that the public sector―through taxes, contributions to social insurances, cash transfers and benefits in kind―effectively does redistribute household income.

Both increasing government spending and government revenues to finance such spending will have impacts on income redistribution. Therefore decisions to expand welfare programs to benefit low-income households or to counter widening income gaps, the positive effect of additional spending on the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must be larger than any negative effect of tax increases. The results of policy simulations to analyze the effects of revenue increases to finance additional spending and of increasing welfare program spending are as follows.



Consider the case of raising taxes by 1 trillion won to finance an increase of the same amount in welfare spending. We estimate that if the additional tax revenues come wholly from income taxes, the after-tax Gini coefficient will fall by 0.00018 to 0.00069, improving the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In contrast, excise taxes will result in a very miniscule increase (0.00003) in the Gini index, which has practically no impact on the income distribution. Surcharges on tobacco are strongly regressive and will hence have a rather strong negative impact on the Gini (increase of 0.00015).



Expanding welfare spending will positively affect the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Education, basic income guarantee, child-care programs will reduce the after-tax Gini coefficient by 0.00028, 0.00211 and 0.00136, respectively.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특히 경제위기 이후 소득분배격차 확대에 대응하여 급증하기 시작한 사회분야 지출을 중심으로 정부의 세입 및 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추정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서베이 자료를 바탕으로 현금급여와 직접세 및 소비세의 세부담을 추정하고, 의료나 교육 등의 현물급여도 연령, 자녀 수 등을 이용하여 분포를 구성하였다.



소득세 등 직접세와 소득이전에 의한 소득재분배 효과는 지니계수를 기준으로 10.5%(2005년 기준) 정도로 추정된다. 여기에서 사적이전소득 효과를 제외하고 공공부문에 의한 효과를 추정하면 6.6% 정도이다. 세부담이 다소 역진적인 소비세를 포함하면 공공부문의 재분배 효과는 6.1%로 추정된다. 현물급여에 의한 재분배 효과(2005년 기준)는, 건강보험, 교육, 보육이 각각 2.75%, 2.6%, 0.17% 정도로 추정된다. 주택의 경우에는 지원규모가 작고 고소득층이 혜택을 많이 받고 있어 분배구조 개선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민간소득(=시장소득+사적이전소득)을 기준으로 할 때, 조세 및 보험료를 차감하고, 각종 현금 및 현물급여를 합산해본 결과 1∼5분위에서는 민간소득보다 최종소득 수준이 더 높고, 그 이상의 분위에서는 역전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로부터 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 각종 소득이전 및 현물급여 등을 통해 공공부문이 소득을 재분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지출을 확대하면 재분배 효과가 나타나지만 재원조달을 위해 세입을 확충하는 경우에도 재분배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빈곤대책 또는 소득격차 확대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복지지출확대방안을 선택함에 있어서는 지출정책을 통한 정(+)의 재분배 효과가 세입확대로 인한 부(-)의 재분배 효과보다 커야 한다. 재원조달을 위해 증세를 하는 경우와 지출을 확대하는 경우의 효과를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하면 다음과 같다.



복지지출 확대를 위해 1조원을 증세하는 경우 증세를 통해 재원을 조달하는 경우를 상정하자. 소득세를 이용하여 재원을 조달하면 세후지니계수가 0.00018∼0.00069p 하락하여 분배구조가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가가치세를 증세하면 세후지니계수가 매우 미미하게(0.00003p) 상승하는데 이 정도의 변화폭은 사실상 재분배 효과가 0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담배세 부담은 그 자체로서 매우 역진적이기 때문에 담배세 증세를 통해 재원을 조달하면 지니계수가 상당한 정도(0.00015p) 상승하여 분배구조를 악화시킨다.



사회분야 지출을 확대하는 경우의 효과를 추정해보면, 교육, 기초생활, 보육의 경우 세후지니를 기준으로 할 때 각각 0.00028p, 0.00211p, 0.00136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두 정(+)의 소득재분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
직접세, 직접세, 공공부문, 지니계수, 복지지출, 공공부문, 지니계수, 복지지출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