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관세율 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국제비교 및 일반균형모형의 응용 cover image

관세율 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국제비교 및 일반균형모형의 응용

Keyword
비종가세, 비종가세, DDA협상, 적정관세율, DDA협상, 적정관세율
Title
관세율 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국제비교 및 일반균형모형의 응용
A Study for Improvement of Korean Tariff Structure Based on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CGE Simulation Analyses
Authors
정재호; Jaeho Cheung; Myung Jae Sung; Myungheon Lee; 성명재; 이명헌; Jaeho Cheung; Myungheon Lee; Myung Jae Sung
Issue Date
2003-12-01
2003-12-01
Publisher
KIPF
KIPF
Page
pp. 260
pp. 260
Abstract
본고는 1990년대 이후 유지되어온 우리나라 관세율 체계의 개선방향에 대해 기초적인 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주요국의 관세율 체계에 대한 비교분석과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적정관세율 체계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두드러지게 관세율이 높은 품목의 관세율 조정과, 일부 농산물 등에 대해 비종가세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국가별 관세율 분포를 통해 차등관세율과 중심관세율 구조를 살피고 향후 DDA 협상 결과도 현 체제 유지에 중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CGE 분석을 통해 현재뿐만 아니라 DDA 협상 이후에도 중심관세율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시하였다.

한편, 원자재에 대해 무세화 추세를 확인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원자재에 대한 무관세 적용비중을 높이는 것은 타당한 정책임을 밝혔다. 또한 중간재에 대해서 부가가치 창출 등을 고려하여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고 그 세율은 원자재와 최종재에 유사하게 적용함으로써 중심관세율 체제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중간재 관세율 수준을 낮출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 우리 경제를 이끌고 있는 전기 및 전자기기 산업의 수입유발적 생산구조를 개선하는 데도 일맥상통하는 제도임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CGE 분석에 필요한 28개 산업부문별로 CET-CES 생산함수에서의 전환탄력성과 대체탄력성을 추정하였다. 회귀방정식은 최적화를 위한 1계조건으로부터 초월대수함수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등호성, 대칭성, 정규성, 요소확장, 그룹합산조건을 가정하였다. 28개 부문 가운데 21개 부문에 대해서는 해당 탄력성을 성공적으로 추정하였으나 나머지 7개 부문의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해당 부문에 대한 생산함수의 형태가 CET-CES의 형태가 아니거나 또는 분석에 사용한 자료가 부정확하게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1984, Korea has adopted an uniform tariff rate system. Korea still maintains 8% tariff rate on most of its final output and an escalated tariff system with tariff rate varying in accordance with production stage.

Using CGE model, optimal tariff structures that maximizes the representative consumer's utility under three political constraints were calculated. Those political constraints are: (a) the government consumption expenditure in each industry must be held constant in real terms, (b)the share of customs duty in the total government revenue must stay at a current level or other given levels (c)the tariffs for agricultural product and food are determined exogenously in the framework of WTO. The calc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tariff structure should be considerably differentiated in comparison to the current one if the theoretical optimality were to be pursued. However, the gain from such optimization was measured to be almost negligible from the practical view.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n attempt for major changes in the tariff structure is not likely to result in a welfare increase which would more than compensate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ost that such changes would incur.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tariff structure suggests that Korea should actively introduce non-ad valorem tariffs especially on agricultural product and crude oil. Also, Korea may follow the path of other developed economies by adopting an escalated tariff system with zero tariff on raw materials. Korea considers divide 2 groups of semi-manufactured products according to the value added contribution to economy, and Korea imposes separate two tariff rates; zero rate like raw materials and uniform tariff rate like finished products.

In the Appendix, we estimate transformation and substitution elasticities of production functions in 28 sectors of Korean economy. The regression equations are derived from the first order conditions in optimization process using transcendental logarithmic production frontiers. The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The error terms are assumed to follow normal distributions. In so doing, we assume equality, symmetry, normalization, factor augmentation, and group-wise additivity conditions. These conditions are equivalent to assuming CET-CES production functions. We get economically meaningful estimates in 21 sectors; the remaining 7 sectors can not be estimated successfully, either because the production functions are poorly specified or because we do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on data sets.



,
Keywords
비종가세, 비종가세, DDA협상, 적정관세율, DDA협상, 적정관세율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