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규모, 구조와 특징, 관련 정책방향- cover image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규모, 구조와 특징, 관련 정책방향-

Keyword
조세지원, 조세지원, 자원봉사, 투명성, 투명성, 자원봉사
Title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규모, 구조와 특징, 관련 정책방향-
A Study on Private Donation of Korea
Authors
손원익; Wonik Son·Tae-Kyu Park; 박태규; Wonik Son·Tae-Kyu Park
Issue Date
2008-02-01
2008-02-01
Publisher
KIPF
KIPF
Page
pp. 24
pp. 2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민간기부의 동기를 규명하고 기부 관련세제의 기부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인기부는 그 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한국의 개인기부에 대한 분석에서 기부금 관련 조세제도가 개인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기부금에 대한 공제한도가 확대되고 특정 사회복지성 기부금에 대해 공제한도가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기부금 총액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개인기부문화의 정착을 위해서는 기부금 총액의 증가도 중요하지만 기부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의 수를 나타내는 기부참가율, 개별 기부자들의 기부금액, 그리고 기부자들이 얼마나 자주 기부활동에 참가하는지가 중요한 지표이다. 현재로서 이런 세 가지 중요한 지표에 영향을 동시에 주는 요인으로는 자원봉사의 경험이다.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기부 참가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부에 참가하는 사람들 중에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기부자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금액의 기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에서 개인기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제시된 정책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기부에 대한 조세정책의 지원과 관리제도의 강화

(2) 자선단체운영의 투명성 제고방안

(3)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통한 개인기부문화의 정착



기업의 기부와 관련된 이론적 연구와 이론적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기업기부의 소득공제 한도 때문에 기부가 전액 소득공제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 이윤극대화 모형에서도 세율이 기업의 기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존의 이론적 논의에 따르더라도 소득공제 한도의 소진 여부와 추가적인 기부와의 관계에 따라 동일한 기업에서도 기부의 동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의 정책시사점은 기업의 기부와 관련된 조세정책은 개별 기업의 기부규모와 당해기업의 소득공제 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대상기업들의 예상 기부행태를 분석하여 정책의 기대효과를 산출한 후 결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ation of private donation and the effect of tax policy on private donation. It is known that the individual donation is seriously affected by cultural and societal factors of the society. The analysis on the individual donation of Korea shows that the tax policy affects the decision of individual donation. The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ax policy on individual donation is shown that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has been increased as the tax allowances for donation in social welfare area was increased.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lossom the culture of individual donation is not only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but also the number of donation for each individual. In other words, how often each individual donates is the key index to measure the level of donation in a society. Another important finding of the previous study is that the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is deeply related to the number of individual’s donation and the amount of donation. The study shows that individuals who have more experiences of volunteer work tend to donate more often and more amounts.

The following policy propositions are made to boost individuals' donation in Korea;

(1) increase tax incentives for individuals’ donation

(2) enhance the transparency of charitable organizations

(3) induce more active volunteer work to blossom the culture of individual donation

An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The finding of the analysis is that the tax rate can affect the decision of corporate donation even in the frame of profit-maximizing model as long as a part of donation is not deducted due to the limit of tax deduction.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motivation of corporate don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corporation’s situation which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tax deduction available and the amount of marginal donation. We may derive the following tax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rporate donation from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expected effects of tax policy changes should be calculated by incorpo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he marginal donation and the limit of tax deduction for each individual corporation.
Keywords
조세지원, 조세지원, 자원봉사, 투명성, 투명성, 자원봉사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