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주요국의 유류세 제도 및 세율 비교 분석 cover image

주요국의 유류세 제도 및 세율 비교 분석

Keyword
유류세비중, 개별소비세, 탄소세, 환경세
Title
주요국의 유류세 제도 및 세율 비교 분석
Authors
조명환; 조진권; 정경화
Issue Date
2008-12
Publisher
KIPF
Page
pp. 75
Abstract
□근래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자원의 소비와 낭비로 인한 폐해로 지구온난화효과(Greenhouse Effect)로 일컬어지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있음.



○탄소배출을 막기 위한 연구와 기술이 더 이상 과학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 하려는 재정정책들이 이미 여러 국가에 도입되고 있는 실정임.



○에너지세(Energy tax)는 화석연료(fossil fuels)인 석탄, 석유와 천연가스, 전기의 사용에 부과되며 일반적으로 소비세(excise tax)로 과세되고 있음.

- 환경세(Environmental tax or Green tax)는 2005년부터 EU에서 도입되고 있는 탄소배출권시장거래제도(EU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ETS)와 더불어 대표적인 환경정책 수단임.

- 에너지세로 부과·징수된 조세수입은 환경개선비용, 도로확충 등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되고 있음.



□에너지조세는 환경오염이라는 부의 외부효과(negative externality)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장실패(market failure)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으며, 에너지 가격구조의 합리화, 산업구조의 변화, 최근 경기부양을 위한 각국의 재정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바가 작지 않음.



○Pigou의 후생경제학(The Economics of Welfare)에서는 '생산자가 자신이 발생시킨 오염과 환경파괴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면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바로 잡기 위한 과세가 필요함'을 주장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와 같은 기후협약은 탄소배출 억제를 위한 국제노력으로 장래 특정국가의 산업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중요 정책수단의 하나로 에너지조세가 활용되고 있음.



○세계화, 선진화된 금융기술, 자원의 무기화 등으로 불거진 에너지 가격의 왜곡현상으로 인한 경제주체의 부담을 줄이고자 에너지조세정책이 이용되기도 함.

- 2008년 7월 국제 휘발유 가격은 배럴당 147.8달러로 최고점을 경신하였지만, 2008년 12월 현재에는 30달러로 하락

- 우리나라의 경우 고유가파동으로 인한 서민생활 안전을 위해 2008년 10월에 유가환급금을 정책을 발표



□에너지세는 종량세와 종가세가 혼합(mix)되어 있고 다른 세제보다 국제시장의 변화에 탄력적이어서, 에너지소비국에게는 합리적인 에너지세제와 적시성 있는 에너지 정책 수립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많은 에너지 중 경제성장을 위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석유자원에 관련된 조세에 대한 관심이 많음.



○특히 유류세에 대한 국가 간 비교가 첨예한 화두로 전개되고 있지만, 세금 부담에 대한 국가 간 비교를 위해서 국민소득 수준, 국가 경제구조, 세목 간 구성 비율, 조세부담률, 외부성의 사회적 비용 등의 항목들에 대한 선행조사가 필요



○본 연구에서는 우선 OECD 회원국과 중국에 대한 에너지세 제도 중 유종별 과세대상과 세율에 대한 정책과 유류세 현황에 국한하여 조사를 수행



□본 보고서의 제Ⅱ장은 우리나라의 유류세 제도와 현황을, 제Ⅲ장은 OECD 회원국별 유류세에 대한 조세정책과 유류세 현황 등을 분석해보고, 제Ⅳ장에서 국제비교를 통해 제Ⅴ장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본 연구에 있어서 유류세의 범위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부분으로 구분하고자 함.

- 단, 최종가격 대비 유류세 부담수준을 파악함에 있어서 유류세는 유류세에 부가가치세를 가산한 금액으로 산정



○국가별 다양한 유종별 과세기준, 화폐, 계량치 등의 통일화를 위해서 공신력 있는 기관(IEA, 또는 OECD)이 발간하는 보고서를 기준으로 국제비교를 수행
Keywords
유류세비중, 개별소비세, 탄소세, 환경세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