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한국과 중국의 공공기관 CEO 성과평가제도 비교 연구 cover image

한국과 중국의 공공기관 CEO 성과평가제도 비교 연구

Keyword
중국 공공기관, CEO, 성과평가제도
Title
한국과 중국의 공공기관 CEO 성과평가제도 비교 연구
Authors
공공기관정책연구센터
Issue Date
2011-11-01
Publisher
KIPF
Page
pp. 77
Abstract
2010년 한국의 기관장 경영계획서 이행실적평가와 중국의 중앙 공기업 책임자 업무성과평가를 대상으로 평가의 법적 근거와 평가주체, 평가대상, 평가과정, 평가결과의 환류 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1. 평가의 법적 근거



□한국의 기관장 경영계획서 이행실적평가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기타 공공기관의 혁신에 관한 지침‘에 의거해서 이루어짐.

□중국의 중앙 공기업 책임자에 대한 성과평가는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령으로 발표된 ‘중앙 공기업 책임자 업무실적평가 임시방법’에 근거를 두고 실시됨.



2. 평가의 주체



□한국은 기획재정부와 공공기관운영위원회가 주체가 되며 실제 평가는 외부조직인 경영평가단에서 담당함.

□중국에서 평가의 주체는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이며, 기업 내부의 감사위원회가 총결산분석보고서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평가견해를 제출함.



3. 평가 대상



□한국의 평가 대상은 공운법에 의거하여 지정된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의 혁신에 관한 지침’에 따라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하여 경영계약을 체결한 기타 공공기관의 기관장임.

□중국의 평가대상은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출자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 공기업 책임자로 기업의 형태에 따라 총경리(총재), 부총경리(부총재), 총회계사, 대표이사, 이사 등이 여기에 속함.



4. 평가 과정



가. 평가절차

□한국은 전년도에 확정된 기관장 경영계획서를 바탕으로 당해연도 3월에 실적보고서를 제출하고 6월 20일까지 실적평가를 실시하여 공운위에서 평가결과를 확정함.

□중국에서는 전년도에 국자위 주임과 체결한 운영실적책임서를 바탕으로 매년 4월말 중앙 공기업이 총결산분석 보고서를 국자위와 기업의 감사위원회에 제출하면 국자위가 감사위원회의 평가견해 등을 종합하여 평가를 함



나. 평가지표 및 가중치

□한국은 기관장 리더십과 공공기관 선진화, 기관고유과제의 3개 부문에 대해 평가를 실시함.

□중국의 연도?임기운영실적평가는 각각 4개의 지표에 대해서 평가함.



다. 평가방법 및 평가등급

□한국은 기관장 리더십과 공공기관 선진화, 기관고유과제 중 계획 및 집행단계는 비계량평가를 실시하고 기관고유과제 중 산출?성과단계는 계량평가를 실시함.

□중국은 목표치의 달성 정도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되 목표치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가점이나 감점함.



5. 평가결과 환류



가. 평가결과와 보수의 연계

□한국에서는 기관장 경영계획서 이행실적평가와 기관 경영실적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성과급을 차등지급하며, ‘아주 미흡’을 받은 기관장에 대해서는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고, 2년 연속 ‘경고’를 받은 기관장은 성과급의 50%를 감액하여 지급함.

□중국의 중앙 공기업 책임자의 성과급은 연도운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지급되며, 성과급의 60%는 연도운영실적평가가 종료된 이후에 바로 지급되지만 나머지 40%는 임기운영실적평가의 요인을 반영하여 임기평가 종료 후에 지급됨.



나. 평가결과와 임면의 연계

□한국의 기관장 경영계획서 이행실적평가 결과 ‘아주 미흡’의 등급을 받은 기관장과 2년 연속 ‘미흡’ 평가를 받은 기관장에 대해서는 해임을 건의하고, ‘미흡’ 평가를 받은 기관장에 대해서는 경고조치함.

□중국에서는 연도?임기운영실적평가 결과가 공기업 책임자 임면의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며 임기운영실적 목표를 정당한 사유없이 달성하지 못하거나 2년 연속 연도운영실적평가 목표를 미달한 경우 책임자 직위의 조정이 가능함.
Keywords
중국 공공기관, CEO, 성과평가제도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