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주요국의 주택정책과 공공기관의 역할 cover image

주요국의 주택정책과 공공기관의 역할

Keyword
Title
주요국의 주택정책과 공공기관의 역할
Authors
공공기관연구센터
Issue Date
2012-11
Publisher
KIPF
Abstract


요 약

?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주택을 경제적 재화로 인식하고 주택시장의 기능을 인정하면서도, 가격불안정·공급부족 등을 이유로 정부가 각종 세금·규제정책, 직접개발(공영개발) 등을 통해 시장에 광범위하게 개입해 왔음


• 그러나 ‘주거안정’과 ‘경기활성화’ 사이에서 정부가 시장개입과 규제완화를 반복하면서 시장은 정부정책에 의존하게 되었고, 자기청산능력을 상실하게 됨





? 주요국가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주택시장이 비교적 안정된 국가들에서는 나름의 일관된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보완적으로 정책수단을 도입하여 개입하였음


• 각국의 주택정책은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면서 국가별로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주택정책은 시장주도형, 정부주도형, 제3섹터형, 혼합형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음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주택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금자리주택공급(분양, 임대), 주택금융활성화, 임대료 보조, 부동산 세제, 가격규제 등 주요 선진국에서 실시한 각종 대책들이 무작위로 도입되고 있음


• 현재 실시되고 있거나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 주택정책들은 시장주도형 국가에서 시도한 정책과 정부주도형 국가에서 시도된 정책이 모두 망라된 형태임





? 정부는 현재 우리의 주택시장의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우리 정부가 취하여야할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현재의 부동산 정책 수단을 정비하고, 정부개입의 일관성을 확보하여 예측가능성 및 신뢰성을 회복할 필요가 있음


• 변화된 정책여건 하에서 현재 우리 주택시장의 현황을 고려하여 정책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


• 현 상황에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선별·정비하여 합리적인 정부개입 방안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공공기관의 역할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음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