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공공기관의 장기적 역할 설정
- Keyword
- Title
-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공공기관의 장기적 역할 설정
- Authors
- 공공기관연구센터
- Issue Date
- 2013-11
- Publisher
- KIPF
- Abstract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공공기관의 장기적 역할 설정 (요약)
?우리나라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소기업은 고용과 경기를 부양하고 신기술을 창출하며 경제의 불균형 문제를 시정할 수 있는 성장 동력이라 할 수 있음. 그러나,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정부 및 공공기관,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의 정책적, 제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어 관련제도 정비가 요구되는 상황
• 현재 우리나라에는 1,000여개 이상의 정부차원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이 난립하고 있으나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여전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불균형 문제는 해결하기 힘든 숙원사업으로 남아있음
?공공기관이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점으로 정책자금 지원의 중복, 수출지원제도의 복잡성, 공급자 중심의 지원제도 운영, 중소기업 보호 위주의 지원정책,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정책 부족 등을 제시하였음
• 중진공으로부터 중복 수혜를 받거나 중진공 자금지원 이후 다른 정책금융기관으로부터 중복으로 지원받은 기업이 상당한 숫자에 달하고 있음
• 중앙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 협회 및 단체 등 여러 주체를 통해 수출지원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어 신청절차 및 보고사항이 너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
• 지원정책의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유형 및 성장단계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이 부족한 상황
• 서민경제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전체 중소기업 가운데 88%를 차지하는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에 비해 지원체계가 미약한 상황
?본 포커스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전반적인 중소기업 지원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기관이 장기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 현재까지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정부 부처, 지자체 및 공공기관, 유관기관의 현황 및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향후 중점을 두어야 하는 지원방안에 대해 우선순위 설정 및 이에 따른 공공기관의 역할을 논의하고자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