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사업소개] 공공요금 원가 검증의 의의와 과제
- Keyword
- Title
- [센터사업소개] 공공요금 원가 검증의 의의와 과제
- Authors
- 김소현 공공기관연구센터 회계사
- Issue Date
- 2014-05
- Publisher
- KIPF
- Abstract
공공요금 원가 검증의 의의와 과제
김소현 (공공기관연구센터 회계사)
공공기관 부채문제는 몇 년 전부터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5년간 공공기관 전체의 부채규모가 크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2007년말 249.2조원⇒2012년말 493.4조원)차입금 의존도가 높아지고 이자보상비율 또한 낮아지는 등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원전 납품 비리, 고용세습 등 방만경영 사례가 언론에 연일보도 되고 국민들의 공공기관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결국 정부는 작년 말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을 통해 공공기관에게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은 부채관리 강화와 방만경영 개선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되며2012년말 기준으로 전체 공공기관 부채의 83.6%를 차지하는 18개 기관에 대해서는 부채 중점관리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관 자체적으로 부채감축 목표를 세우도록 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성과급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이들 18개 공공기관 중 5개기관(한국전력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의 경우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한 원가를 국민으로부터 요금수입을 통해 회수하기 때문에 부채감축과 공공요금 조정을 별개로 생각할 수 없다. 일례로, 한국전력의 경우 물가안정을 위한 전기요금 억제가 최근 5년간 부채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부채감축을 위해 무조건적으로 요금인상을 해줄 수는 없다. 요금조정을 위해 기관이 제출하는 자료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고 기관 자체적으로도 경영효율화?원가절감 등을 통해 최대한의 자구노력을 해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지난 1월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과 연계하여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기관에 경영효율화?원가절감 등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하도록 하고 제3의 검증기관으로 공공기관연구센터에 원가분석팀을 설치하여 원가검증을 실시하기로 발표하였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