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세법연구 15-03 주요국의 거주자 판정 사례 연구 cover image

세법연구 15-03 주요국의 거주자 판정 사례 연구

Keyword
거주자 판정, 주요국
Title
세법연구 15-03 주요국의 거주자 판정 사례 연구
Authors
이동규; 김준현; 정경화
Issue Date
2015-08
Publisher
KIPF
Page
pp. 83
Abstract
□인적·물적 자원의 국가간 이동이 심화되고 국제거래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각 개인 입장에서도 특정 국가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나라에 걸쳐 소재하면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특정 개인이 소득세 과세 목적상 어느 국가의 거주자에 해당하는가의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구체적 사안에 따라서는 그 판단이 모호한 경우가 상당함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일부 납세자는 각 국가들마다 상이한 세법 규정으로 인해 이중 거주자로 인정되어 불이익을 받기도 함

○어느 개인이 양 국가의 내국 세법을 적용함에 따라 이중거주자가 될 경우 해당 국가간 조세조약에 따라 ‘항구적 주거’, ‘이해관계 중심지’ 등 세부 요건을 고려하여 거주지국을 최종 판단하게 됨

○이 경우 각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상충할 수 있는 관계로, 과세당국 간 상호합의 등을 통해 명확하게 이중거주자 문제가 해소되지 못할 가능성도 있음

○한편, 최근의 거주자 관련 국내 세무조사 사례에서와 같이, 국내외 체류일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대적으로 세무상 불리한 국가에서의 거주자 인정을 회피하려는 사례도 발견되어 조세 분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음 이른바 선박왕, 구리왕, 완구왕 등 역외탈세 혐의의 주요 부분이 거주지국 결정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조선일보 기사 “역외 탈세 혐의 3인방 나머지 2명은…”,2013.02.13. 등 신문기사 참조)



□이에 따라 개인 납세자 입장에서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과세를 추구함과 동시에 조세회피 방지 및 세원 확보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세법상 거주자 요건을 보다 정교하게 개선할 필요성이 증대됨

□이러한 국제 거래 환경 및 관련 세법 변화 추이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4년 말 세법 개정을 통해 국내 체류일 기준 등 일부 기준을 수정하였음

○?소득세법? 및 동법 시행령상 국내 주소 또는 거소 보유 여부를 판정하는 기본적인 체류일 기준을 기존 1년에서 183일로 설정함



□그럼에도 아직까지는 후속적인 관련 세법 개정·보완을 통해 거주자 여부 판정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 지침 또는 사례 등을 제시하지는 않은 상황임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주로 ?소득세법? 목적상 거주자 판정 기준의 유형 및 세부 구성 요소에 관한 사안을 위주로, 우리나라 및 주요 국가들의 관련 세법 규정을 비교, 검토하고 각 제도의 특징을 분석함

○영국, 미국 및 호주의 거주자 판정 기준을 검토하고 각 세부 항목별로 구체적 요소들을 비교분석함



□특히 본 보고서에서는 각 국가별로 주요 판단기준의 적용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해당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책 활용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함

○각 국가별 주요 판정 기준을 설명함과 더불어 이와 관련된 사례를 가급적 함께 언급하되, 주요 사례 위주로 선별하여 제시함
Keywords
거주자 판정, 주요국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