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조세·재정 브리프] 공공기관부채의 장기적인 관리방안 cover image

[조세·재정 브리프] 공공기관부채의 장기적인 관리방안

Keyword
공공기관 부채, 정량분석, 부채유발요인
Title
[조세·재정 브리프] 공공기관부채의 장기적인 관리방안
Authors
하세정; 오영민; 라영재
Issue Date
2014-12
Publisher
KIPF
Page
pp. 19
Abstract
□ 최근 수년 간 공공기관의 부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정부와 국가 경제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음



○ 절대적인 규모에서 2013년 말 기준으로 공공기관의 부채는 523.2조원을 기록하여 정부채무보다 8% 많았음



○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약 80%정도 증가하여, 같은 기간 정부부채 증가율 56%, 가계부채 증가율 41%를 크게 상회하였음





□ 부채규모나 증가세 뿐만이 문제가 아니라 부채비율, 이자부담능력, 원금상환능력등으로 평가할 때, 위험성도 크다는 평가



○ 2013년 말 기준으로 공공기관 평균 부채비율은 220%이며, 토지주택공사, 철도공사, 철도시설공단과 같은 일부 대형 기관들은 400%를 초과



○ 부채규모가 큰 10개 기관1)에서 통상적으로 재정취약상태로 간주되는 차입금의존도 30%를 초과하였고, 평균은 50%에 달함



○ 2013년 말 기준으로 10개 기관 중 철도시설공단과 광물자원공사의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을 기록 중이고, 석탄공사, 철도공사, 한국전력은 영업 적자로 마이너스 값을 기록할 정도로 이자지급능력이 낮음



○ 동 10개 기관 중 9개 기관이 부채원금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차입금과 EBITDA의 비율 7.5배를 크게 넘어서, 상환능력도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



○ 민간기업이었더라면 이미 상당수 공기업이 채무불이행 상태가 되었으며, 이러한 기관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은 채무불이행 시 결국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는 사회적 동의가 있음을 의미



□ 공공기관의 부채문제가 제기되자 정부는 부채감축 방안으로서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을 수립 및 실행



○ 2013년 국정감사에서 공공기관의 과도한 부채문제에도 불구하고, 일부 비합리적인 복지제도 운영과 경영비효율이 유지되고 있음이 지적됨



○ 이에 기획재정부는 2013년 말 공공기관 부채감축과 방만경영 해소를 위한 정상화 대책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계획을 의결



○ 부채중점관리기관은 사업조정, 자산매각, 경영효율화, 수익증대 등의 방법을 통한 부채관리계획 제출



□ 정상화 대책은 효과성, 형평성 측면에서의 논란과 장기적 부채관리 계획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



○ 국회, 감사원, 학계의 지적처럼 정부정책사업 추진, 요금규제, 무리한 해외사업 추진으로 발생한 금융부채가 상당한 점에 반해 정상화 대책은 사업조정, 자산매각 등 거의 전적으로 공공기관의 노력에 의존하고 있어, 부채감축 책임의 형평성 논란이 제기됨



○ 정부의 개입이나 지원 없이 부채규모가 실질적으로 감축이 될 수 있는지, 대책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됨



○ 사업조정, 자산매각 등을 통해 단기적인 부채감축에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으로 적정 수준에서 부채규모와 증가율을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



○ 따라서, 부채유발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여, 부채감축의 형평성과 효과성을 높이고, 부채유발배경과 경로를 분석하여 장기적인 부채관리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Keywords
공공기관 부채, 정량분석, 부채유발요인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