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KIPF 조세재정 브리프 통권 제76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효과 분석: 4대 중증질환을 중심으로 cover image

[KIPF 조세재정 브리프 통권 제76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효과 분석: 4대 중증질환을 중심으로

Keyword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중장기 건강보험 재정 추계
Title
[KIPF 조세재정 브리프 통권 제76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효과 분석: 4대 중증질환을 중심으로
Authors
김우현; 이은경; 김대환; 김 윤
Issue Date
2019-02-02
Publisher
KIPF
Page
pp. 20
Abstract
1. 제언배경 ○ 한국의 건강보험 보장률은 타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이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건강보험 보장률은 큰 변화 없이 횡보하고 있음 ○ 2017년 8월 정부는 그동안 보장률 정체의 원인으로 지목되어온 비급여 서비스 전체를 급여로 전환하는 전면적이고, 적극적인 보장성 강화 정책을 발표 · 시행 중임 ○ 본고에서는 중장기 보건의료 재정 추계를 위한 미시 모의실험 모형과 조성법 모형을 활용하여,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인한 중장기 재정 효과를 대략적으로 전망하고자 함 ○ 또한, 장기적인 보건의료 재정 건전성에 기반한 안정적인 보장성 강화를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추후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함 2. 정책제언 ○ 건강보험의 저수가와 비급여 풍선효과 사이의 구조적인 연결고리를 단절하기 위해서, 전면 급여화와 동시에 적정수가의 책정이 동시에 이뤄줘야 함 ○ 적정수가의 인상은 모든 수가의 일괄 정률 인상보다는 원가 대비 수가가 낮은 항목의 선별적 인상, 의료기관 유형별로 진료기능에 적합한 질환과 수술의 수가 인상, 감염관리 등 환자 안전 항목 및 만성질환관리 등 그동안 보상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항목에 대한 인상 등 다양한 방식을 고려 ○ 예비급여 제도의 개선을 위해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급여 결정 및 이를 뒷받침할 연구 설계 과정, 수행기관 관리, 연구재원의 마련 등 후속관리체계가 신속하게 갖춰져야 함 ○ 진료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의학적으로 불필요한 진료가 이뤄지지 않는 심사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경향분석 기반 동료심사제도 도입을 위한 이용량 모니터링 지표와 적절 이용량 마련하고 동료심사를 위한 체계 구축 필요 ○ 비급여 항목의 관리를 위해 비급여 진료 환자 사전동의제도 도입 필요
Keywords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중장기 건강보험 재정 추계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