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재정연구원 - OAK리포지터리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pen Access Repository

BROWSE BY

상세정보

2020 주요국 예산안 영국 cover image

2020 주요국 예산안 영국

Keyword
Title
2020 주요국 예산안 영국
Authors
김현아; 송경호; 한혜란
Issue Date
2020-05-26
Publisher
KIPF
Abstract
□경제·재정전망
*코로나 19 확산 초기에 발표되어 코로나 19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가정하에 추계
○(경제전망) 영국의 GDP 성장률을 2020년 1.1%, 2021년 1.8%로 전망
○(재정전망) FY2020-21의 GDP 대비 공공부문 순차입(재정적자) 비율은 전년 대비 증가한 2.4%, GDP 대비 공공부문 순채무 비율은 전년 대비 감소한 77.4%로 전망


□(예산기조) 예산책임청은 2020 예산안에 대해 1992년 3월 예산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재정 확대 조치를 제시하였다고 평가
○(정책 방향) 코로나 19에 대한 대응 조치와 함께 미래의 번영을 위한 예산을 제시


□(수입·지출) FY2020-21 경상수입은 전년 대비 336억파운드 증가한 8,729억파운드(GDP 대비 37.9%), 총관리지출(TME)은 전년 대비 409억파운드 증가한 9,277억파운드(GDP 대비 40.3%)로 전망


□주요 재정정책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 코로나 19의 경제적 영향을 받는 개인과 기업, 공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예산안에서 120억파운드 규모의 지원 계획을 발표
○(인프라 투자 및 지역균형발전(Level up)) 향후 5년간 영국의 도로, 철도, 디지털 네트워크 등에 약 6,400억파운드를 투자하여 경제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며 지역 간 경제·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조치도 추진
○(공공서비스 개선을 위한 투자)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 강화를 위해 약 60억파운드 이상의 추가 자금을 제공
○(재정건전성 관리) 정부는 추후 ‘2020 포괄적 지출 검토(CSR))’를 발표할 예정이며 기존 재정준칙 변경을 위한 검토도 추진 예정

다운로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메뉴닫기